AI 규제 & 기술

AI와 CCTV: 공공장소에서의 감시와 자유의 균형 문제

bonobono1214 2025. 7. 17. 15:33

 

도시 곳곳에 설치된 CCTV는 이제 단순한 녹화 장치를 넘어, AI가 실시간으로 사람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판단하는 능동적인 감시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쓰레기 무단 투기, 폭력 감지, 수배자 식별 등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공공장소에서의 사생활이 침해되는 수준의 감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AI 기반 CCTV의 확대는 공공의 안전일까요, 아니면 자유의 위협일까요?

 

AI와 CCTV: 공공장소에서의 감시와 자유의 균형 문제
AI와 CCTV

AI CCTV의 기능과 발전 방향

AI CCTV는 영상에 등장하는 사람의 움직임, 복장, 표정, 행동 패턴 등을 분석해 이상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일정 시간 이상 정지 상태에 있거나, 특정 시간대에 군중이 몰릴 경우 AI는 이를 ‘비정상 행동’으로 간주하고 경고를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얼굴 인식, 차번 인식, 연령·성별 분류까지 가능한 고도화된 기능을 갖추고 있지요.

이는 도시 안전망 강화에 효과적이지만, 동시에 감시가 너무 정교해서 인간의 자유를 위협하는 정도로 진화되었지는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공공장소에서의 사생활 권리 침해

CCTV가 설치된 공공장소에서는 사람들이 감시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AI가 그들의 행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판단한다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노숙자의 배회나 장애인의 이상 행동 등이 AI에게 ‘이상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이는 어떻게 보면 인권 침해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감시 기술 규제

유럽연합은 공공장소에서의 얼굴 인식 기반 CCTV를 제한하며, 실시간 감시 시스템에는 반드시 시민의 동의 또는 법원의 명령이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일부 주와 도시도 경찰의 AI 감시 시스템 사용을 금지하거나, 최소한의 조건 하에만 허용하고 있지요.

한국은 CCTV 설치와 운영에 대해 법적 기준은 있으나, AI 감시 시스템에 대한 별도의 규제는 아직 미비한 상태입니다.

자유와 안전의 균형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AI CCTV는 분명히 사회적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24시간 동안 감시받는 사회에 대한 불안과 긴장이 존재합니다. 기술의 도입을 오로지 효율적인 면에서만 생각할 것이 아닌, 신뢰또한 함께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감시가 필요하다면 그 대상, 범위, 기간, 삭제 조건이 명확하고 시민은 이에 대한 설명을 받을 권리를 가져야 합니다.